도시와 달리 시골에서는 농산물과 축산물을 직접 생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확 후 보관 시설이 부족하면 신선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가격 변동에 대한 대응도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온창고가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오늘은 시골에서 저온창고가 필요한 이유와 설치 방법, 그리고 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시골에서 저온창고가 필요한 이유
1) 농산물의 신선도 유지
채소, 과일, 곡물 등은 적정 온도에서 보관해야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저장 기간이 짧아지며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저온창고를 활용하면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판매 기회를 늘릴 수 있습니다.
2) 가격 변동 대응
농산물과 축산물 가격은 계절과 시장 상황에 따라 크게 변동합니다.
저온창고를 이용하면 수확 후 일정 기간 보관하면서 가격이 좋은 시기에 판매할 수 있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3) 병충해 및 부패 방지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 곰팡이, 해충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감자, 고구마, 양파 같은 작물은 고온에서 쉽게 부패할 수 있기 때문에 저온 보관이 필수적입니다.
4) 축산물 및 유제품 보관
시골에서는 우유, 달걀, 육류 등의 축산물을 직접 생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높은 온도에서 변질되기 쉬우므로 적정한 저온 보관이 필수적입니다.
2. 저온창고 설치 방법
저온창고를 설치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1) 설치 장소 선정
배수 및 통풍이 잘되는 곳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위치
접근이 용이하여 농산물 운반이 쉬운 곳
2) 적정 크기 및 설비 선정
저온창고의 크기는 보관할 농산물의 양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개인 농가에서는 10~50평 규모의 소형 저온창고를 설치하며, 대형 농장에서는 100평 이상의 창고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필수 설비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단열재: 폴리우레탄 패널, 스티로폼 등을 사용해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냉각 시스템: 냉동기와 제습기를 설치하여 적정 온도와 습도 유지
환기 장치: 공기 순환을 도와 내부 습기 조절
온도 및 습도 조절 장비: 자동 센서를 활용하여 최적의 보관 환경 유지
3. 저온창고 설치 비용
저온창고의 설치 비용은 크기, 설비 수준, 시공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1) 규모별 예상 비용
소형 (10~20평): 약 1,000만 원 ~ 2,500만 원
중형 (30~50평): 약 3,000만 원 ~ 6,000만 원
대형 (100평 이상): 1억 원 이상
2)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
정부 및 지자체 지원사업 활용: 일부 지역에서는 농가 지원 사업을 통해 저온창고 설치 보조금을 지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중고 설비 활용: 중고 냉동기나 단열재를 활용하면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공동 이용 창고 활용: 개인이 아닌 마을 단위로 공동 저온창고를 운영하면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시골에서 저온창고는 농산물과 축산물의 품질 유지, 가격 변동 대응, 부패 방지 등 다양한 이유로 필수적인 시설입니다.
설치를 고려할 때는 보관할 제품의 종류와 규모에 맞춰 설비를 선택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 지원 사업 등을 적극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저온창고를 구축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요즘은 시골에 저온창고가 참 많이 보이는거 같습니다.